본문 바로가기

Development/Web

웹 접근성, 이해의 용이성 이 글을 웹 접근성 온라인교육에 대한 정리입니다.기본 언어 표시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함다양한 언어를 공부하거나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중요한 지표기본 언어 표시는 화면 낭독 프로그램과 같은 보조기기에서 기본 언어에 맞는 TTS(Text To Speach)엔진 가동시키는 역할을 함 lang 속성을 사용하여 제공lang 속성 값에는 ISO 639-1 언어 코드 사용페이지 중간에 언어가 바뀔 때 변경된 언어를 lang 속성으로 명시해주는 것을 권장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은 실행되지 않아야 함 (새창, 초점변화 등)alert 창은 새창으로 보지 않음콘텐츠 선형구조논리적인 순서로 마크업 언어(HTML) 개발CSS 제거 시에도 콘텐츠가 동일한 순서로 제공되어야 함문서의 구조와 표현을.. 더보기
웹 접근성, 운용의 용이성 이 글을 웹 접근성 온라인교육에 대한 정리입니다.키보드 사용 보장모든 기능에 대해 키보드만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마우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사용자가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일반 사용자도 키보드로 더욱 빠르고 정확한 컨트롤 가능해진다초점 이동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키보드로만 이용하는 사용자 어려움 해소조작 가능사용자의 입력 및 컨트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응답시간 조절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의 경우 그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정지 기능 제공자동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스크롤 배너, 뉴스, 실시간 검색어 등키보드 포커스 및 마우스 오버시 변화가 멈춰지면 정지 기능 제공된 것으로 인정깜빡임과.. 더보기
웹 접근성, 인식의 용이성 이 글을 웹 접근성 온라인교육에 대한 정리입니다.대체 텍스트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이미지, 영상, 음성 등)에 대하여 이를 텍스트 정보로 대체해주는 것alt 속성 값을 이용시각장애인에게 중요한 지표(스크린리더)이미지가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 대체 텍스트 표시검색엔진에서 이미지 검색시 이용정보의 핵심을 놓치지 않으며 간결해야 한다멀티미디어 대체수단자막, 대본, 수화 등을 제공청각장애인에게 중요한 지표비장애인도 명확한 이해 가능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색을 배제하여도 해당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명확한 지시사항 제공지시사항 정보를 특정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감각을 통해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콘텐츠 명도 대비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더보기
장애인과 웹 접근성 이 글을 웹 접근성 온라인교육에 대한 정리입니다.장애인 수전체 인구대비 장애인 수 5.6%장애인 등록 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에 실제 장애인은 더 많은 것으로 추정7가구 중 1가구 수준후천성 장애인 90.5%, 선천성 장애인 9.5%* 장애인은 바로 나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 장애인차별금지법"웹 접근성에 해당하는 전자정보를 동등한 수준으로 제공해야 함"국가정보화기본법, 장애인 복지법에서도 웹 접근성을 다루고 있다.웹 접근성의 의무적용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에는 진정이나 민,형사상 소송을 통해 권리구제 절차가 이루어짐. 더보기
웹 접근성 이 글을 웹 접근성 온라인교육에 대한 정리입니다.웹 접근성이란?웹 콘텐츠에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 한국정보화진흥원 -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W3C WAI -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콘텐츠를 인지하고, 운영하고, 이해하고, 기술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웹 콘텐츠를 만드는 것 Web의 창시자 Tim Berners Lee - "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으며,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The power of the Web is in its u..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