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웹 접근성 온라인교육에 대한 정리입니다.
대체 텍스트
-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이미지, 영상, 음성 등)에 대하여 이를 텍스트 정보로 대체해주는 것
- alt 속성 값을 이용
- 시각장애인에게 중요한 지표(스크린리더)
- 이미지가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 대체 텍스트 표시
- 검색엔진에서 이미지 검색시 이용
- 정보의 핵심을 놓치지 않으며 간결해야 한다
멀티미디어 대체수단
- 자막, 대본, 수화 등을 제공
- 청각장애인에게 중요한 지표
- 비장애인도 명확한 이해 가능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 색을 배제하여도 해당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 지시사항 정보를 특정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감각을 통해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콘텐츠 명도 대비
-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암의 차이
- 4.5:1 이상을 권장
- 시력이 약한 사용자를 위한 지침
- 본문 콘텐츠에 대해서만 적용(장식목적, 비활성화, 로고 등 제외 항목 존재)
자동 재생 금지
- 자동 재생 배경음 사용하지 않음
- 배경음 3초 미만 사용
-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웹 페이지의 첫 부분에 제공
- 배경음으로 인해 화면낭독기의 음성이 방해받지 않게 해야한다
콘텐츠 간의 구분
'Development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접근성, 견고성 (0) | 2016.11.22 |
---|---|
웹 접근성, 이해의 용이성 (0) | 2016.11.22 |
웹 접근성, 운용의 용이성 (0) | 2016.11.21 |
장애인과 웹 접근성 (0) | 2016.11.21 |
웹 접근성 (0) | 2016.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