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elopment/Web

웹 접근성, 인식의 용이성

이 글을 웹 접근성 온라인교육에 대한 정리입니다.

대체 텍스트

  •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이미지, 영상, 음성 등)에 대하여 이를 텍스트 정보로 대체해주는 것
  • alt 속성 값을 이용
  • 시각장애인에게 중요한 지표(스크린리더)
  • 이미지가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 대체 텍스트 표시
  • 검색엔진에서 이미지 검색시 이용
  • 정보의 핵심을 놓치지 않으며 간결해야 한다

멀티미디어 대체수단

  • 자막, 대본, 수화 등을 제공
  • 청각장애인에게 중요한 지표
  • 비장애인도 명확한 이해 가능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 색을 배제하여도 해당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 지시사항 정보를 특정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감각을 통해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콘텐츠 명도 대비

  •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암의 차이
  • 4.5:1 이상을 권장
  • 시력이 약한 사용자를 위한 지침
  • 본문 콘텐츠에 대해서만 적용(장식목적, 비활성화, 로고 등 제외 항목 존재)

자동 재생 금지

  • 자동 재생 배경음 사용하지 않음
  • 배경음 3초 미만 사용
  •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웹 페이지의 첫 부분에 제공
  • 배경음으로 인해 화면낭독기의 음성이 방해받지 않게 해야한다

콘텐츠 간의 구분


'Development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접근성, 견고성  (0) 2016.11.22
웹 접근성, 이해의 용이성  (0) 2016.11.22
웹 접근성, 운용의 용이성  (0) 2016.11.21
장애인과 웹 접근성  (0) 2016.11.21
웹 접근성  (0) 2016.11.18